한국인은 절대 생각 못 하는 HAVE 표현 50선
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말하는 법
“Have”라는 단어는 영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동사 중 하나입니다. 많은 한국 학습자들이 "가지다" 또는 "먹다"의 의미로만 알고 계시지만, 원어민들은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have를 사용하며, ‘자연스러운 표현’의 핵심이 되기도 합니다.
이 포스트에서는 한국인이 잘 떠올리지 못하지만, 원어민은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HAVE 표현 50가지를 5가지 주제별로 정리해드립니다. 각 표현마다 A-B형 예문, 해석, 문법 팁까지 함께 제공하니 학습자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📌 Part 1. 일상적인 행동에 쓰이는 HAVE 표현 10선
1. I had a nap.
A: You look refreshed!
B: Yeah, I had a nap after lunch.
👉 (A: 개운해 보이네요! / B: 점심 먹고 낮잠 좀 잤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take a nap 대신 have a nap을 쓰면 더 일상적인 회화 느낌이 납니다.
2. Let’s have a chat.
A: Got a second?
B: Sure, let’s have a chat.
👉 (A: 잠깐 시간 있으세요? / B: 네, 이야기 좀 나누죠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chat'은 가볍게 이야기 나누자는 제안에 자주 사용됩니다.
3. I had a blast!
A: How was the party?
B: I had a blast!
👉 (A: 파티 어땠어요? / B: 정말 즐거웠어요!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blast'는 ‘정말 신나게 놀았다’는 의미로 파티, 여행 등에서 자주 씁니다.
4. We had a good laugh.
A: That movie was hilarious.
B: Yeah, we had a good laugh.
👉 (A: 그 영화 정말 웃겼어요. / B: 네, 우리 많이 웃었죠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good laugh'는 함께 유쾌하게 웃은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.
5. I had a busy week.
A: You look exhausted.
B: I had a busy week at work.
👉 (A: 피곤해 보이시네요. / B: 이번 주에 일이 많았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have + 기간 표현으로 과거의 일정이나 경험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6. She had a cup of tea.
A: Where’s Emma?
B: She had a cup of tea and left.
👉 (A: 엠마 어디 갔어요? / B: 차 한 잔 마시고 나갔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+ 음료/음식'은 ‘마시다/먹다’의 부드러운 대체 표현입니다.
7. He had a shave.
A: Why was he late?
B: He had a shave.
👉 (A: 왜 늦었대요? / B: 면도했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shave를 명사로 쓸 때 'have a shave' 형태로 사용됩니다.
8. I had a good stretch.
A: You look more awake now.
B: I had a good stretch.
👉 (A: 이제 좀 정신 차리신 것 같네요. / B: 기지개 한 번 크게 켰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stretch'는 스트레칭을 할 때 쓰는 표현으로, 가볍게 몸을 푸는 상황에 잘 어울립니다.
9. She had a quick bite.
A: Did she have lunch?
B: She had a quick bite before the meeting.
👉 (A: 점심 먹었어요? / B: 회의 전에 간단히 요기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bite'는 '간단히 먹다'는 의미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
10. We had a good time.
A: How was the trip?
B: We had a good time.
👉 (A: 여행 어땠어요? / B: 즐거운 시간 보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good time'은 '즐거운 시간을 보내다'는 의미로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쓰이는 표현입니다.
📌 Part 2. 감정과 기분 표현에 쓰이는 HAVE 표현 10선
11. I had a rough day.
A: You seem down.
B: I had a rough day.
👉 (A: 기분 안 좋아 보이시네요. / B: 오늘 하루 힘들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rough day'는 감정적으로 힘들거나 피곤한 하루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12. She had a bad feeling about it.
A: Why didn’t she go?
B: She had a bad feeling about it.
👉 (A: 왜 안 갔어요? / B: 뭔가 불길한 느낌이 들었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bad feeling'은 불안감이나 직감을 나타낼 때 자주 쓰입니다.
13. I had second thoughts.
A: Did you cancel the plan?
B: Yes, I had second thoughts.
👉 (A: 계획 취소하셨어요? / B: 네, 다시 생각해봤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second thoughts'는 마음이 바뀌거나 주저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.
14. We had a moment.
A: How was dinner?
B: We had a moment.
👉 (A: 저녁 어땠어요? / B: 서로에게 집중할 수 있는 순간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moment'은 특별하거나 감정적인 순간을 의미합니다.
15. He had a meltdown.
A: What happened to James?
B: He had a meltdown at work.
👉 (A: 제임스 왜 그래요? / B: 직장에서 멘붕이 왔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meltdown'은 감정이 폭발하거나 무너지는 상황에 사용됩니다.
16. She had a change of heart.
A: Is she still moving abroad?
B: No, she had a change of heart.
👉 (A: 아직 해외로 이사 가려나요? / B: 아니요, 마음이 바뀌었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change of heart'는 결정을 바꾸거나 생각을 바꿀 때 쓰는 표현입니다.
17. I had butterflies in my stomach.
A: Nervous?
B: Totally. I had butterflies in my stomach.
👉 (A: 긴장돼요? / B: 엄청요. 속이 울렁거렸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butterflies in one’s stomach'은 긴장되거나 떨릴 때 사용하는 관용 표현입니다.
18. We had mixed feelings.
A: How did you feel?
B: We had mixed feelings about the result.
👉 (A: 기분이 어땠어요? / B: 결과에 대해 기분이 복잡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mixed feelings'는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 복합적인 감정을 말합니다.
19. She had a hunch.
A: How did she know?
B: She just had a hunch.
👉 (A: 어떻게 알았대요? / B: 그냥 직감이었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hunch'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예감이 들 때 사용합니다.
20. I had a feeling of relief.
A: When the test ended?
B: Yes, I had a feeling of relief.
👉 (A: 시험 끝났을 때요? / B: 네, 안도감이 들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feeling of + 감정' 구조는 특정 감정을 표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.
📌 Part 3. 건강과 신체 상태 표현에 쓰이는 HAVE 표현 10선
21. I had a headache.
A: You look uncomfortable.
B: Yeah, I had a headache all morning.
👉 (A: 불편해 보이세요. / B: 네, 아침 내내 두통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headache'는 두통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표현입니다.
22. He had a fever.
A: Why didn’t he come to school?
B: He had a fever.
👉 (A: 왜 학교 안 왔어요? / B: 열이 났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fever'는 발열 증상을 말할 때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.
23. She had a sore throat.
A: She sounds different.
B: Yeah, she had a sore throat.
👉 (A: 목소리가 다르네요. / B: 네, 목이 아팠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sore throat'는 감기 증상 중 하나로 자주 쓰입니다.
24. I had a stiff neck.
A: What’s wrong?
B: I had a stiff neck this morning.
👉 (A: 왜 그래요? / B: 오늘 아침에 목이 뻣뻣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stiff neck'는 근육이 굳었거나 긴장됐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.
25. He had a runny nose.
A: Was he sick?
B: He had a runny nose and stayed home.
👉 (A: 아팠어요? / B: 콧물이 나서 집에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runny nose'는 감기 또는 알레르기 증상 중 하나입니다.
26. She had food poisoning.
A: Why didn’t she eat anything?
B: She had food poisoning yesterday.
👉 (A: 왜 아무것도 안 먹었어요? / B: 어제 식중독에 걸렸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food poisoning'은 과거 병이나 상태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
27. I had sore muscles.
A: You’re walking funny.
B: I had sore muscles from working out.
👉 (A: 걷는 게 이상하네요. / B: 운동해서 근육통이 생겼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sore muscles'는 운동 후 근육통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28. He had an allergic reaction.
A: Why is his face red?
B: He had an allergic reaction.
👉 (A: 얼굴이 왜 빨개요? / B: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n allergic reaction'은 알레르기 반응을 설명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
29. I had a terrible cough.
A: Are you okay now?
B: Yeah, but I had a terrible cough last night.
👉 (A: 이제 괜찮으세요? / B: 네, 근데 어젯밤에 기침이 심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terrible cough'는 기침 증상이 심할 때 강조하여 말할 수 있습니다.
30. She had a bruise.
A: What happened to her arm?
B: She had a bruise from the fall.
👉 (A: 팔이 왜 그래요? / B: 넘어져서 멍이 들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bruise'는 외부 충격에 의한 타박상 표현입니다.
📌 Part 4. 사건과 경험 표현에 쓰이는 HAVE 표현 10선
31. I had a car accident.
A: What happened to your car?
B: I had a car accident last week.
👉 (A: 차가 왜 그래요? / B: 지난주에 교통사고가 났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car accident'는 과거의 사고 경험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32. She had a huge victory.
A: How was the competition?
B: She had a huge victory.
👉 (A: 대회 어땠어요? / B: 그녀가 큰 승리를 거뒀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victory'는 스포츠나 경쟁 상황에서 승리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
33. We had a misunderstanding.
A: Why are you upset?
B: We had a misunderstanding earlier.
👉 (A: 왜 화나셨어요? / B: 아까 오해가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misunderstanding'는 의견 차이 또는 소통의 오류를 나타냅니다.
34. He had a lucky break.
A: How did he get the job?
B: He had a lucky break.
👉 (A: 어떻게 그 일자리를 얻었대요? / B: 운 좋은 기회를 잡았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lucky break'는 운 좋게 좋은 기회를 얻었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.
35. I had a bad dream.
A: You look pale.
B: I had a bad dream last night.
👉 (A: 창백해 보이세요. / B: 어젯밤에 악몽 꿨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bad dream'은 좋지 않은 꿈을 꾸었을 때 흔히 쓰입니다.
36. She had a real wake-up call.
A: Why did she change so much?
B: She had a real wake-up call.
👉 (A: 왜 그렇게 달라졌어요? / B: 정신이 번쩍 드는 계기가 있었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wake-up call'은 현실을 직시하게 해주는 충격적인 계기를 의미합니다.
37. We had a power outage.
A: Why was the meeting delayed?
B: We had a power outage.
👉 (A: 회의가 왜 늦었어요? / B: 정전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power outage'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겪는 정전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38. I had a reality check.
A: What changed your mind?
B: I had a reality check.
👉 (A: 왜 마음이 바뀌었어요? / B: 현실을 직시하게 됐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reality check'는 비현실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현실을 깨닫는 상황을 말합니다.
39. He had a great deal.
A: How did he afford that car?
B: He had a great deal on it.
👉 (A: 그 차 어떻게 샀대요? / B: 좋은 조건으로 샀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deal'은 구매나 계약에서 유리한 조건을 얻었을 때 사용합니다.
40. She had a good cry.
A: Is she okay now?
B: She had a good cry and feels better.
👉 (A: 이제 괜찮아요? / B: 실컷 울고 나니까 좀 나아졌대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good cry'는 감정을 풀기 위해 실컷 우는 상황을 표현합니다.
📌 Part 5. 기타 유용한 표현에 쓰이는 HAVE 표현 10선
41. I had a gut feeling.
A: Why didn’t you go?
B: I had a gut feeling something was wrong.
👉 (A: 왜 안 갔어요? / B: 뭔가 잘못됐다는 직감이 들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gut feeling'은 강한 직감이나 본능적인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42. She had a close call.
A: Is she okay?
B: Yes, but she had a close call.
👉 (A: 괜찮아요? / B: 네, 근데 아슬아슬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close call'은 큰일 날 뻔한 위기 상황에서 간신히 벗어난 경우에 사용합니다.
43. We had a heated argument.
A: Why aren’t you talking?
B: We had a heated argument.
👉 (A: 왜 서로 말 안 해요? / B: 격한 논쟁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heated argument'은 감정이 격해진 언쟁을 표현할 때 적합합니다.
44. He had a tough decision to make.
A: Why is he so quiet?
B: He had a tough decision to make.
👉 (A: 왜 저렇게 조용해요? / B: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decision to make' 구조는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.
45. I had my doubts.
A: Did you trust him?
B: Honestly, I had my doubts.
👉 (A: 그 사람 믿었어요? / B: 솔직히, 의심이 들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doubts'는 의심이나 불확실한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.
46. She had the final say.
A: Who made the decision?
B: She had the final say.
👉 (A: 누가 결정했어요? / B: 그녀가 최종 결정을 내렸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the final say'는 최종 결정권이 있는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.
47. We had an agreement.
A: I thought you disagreed.
B: No, we had an agreement.
👉 (A: 반대하는 줄 알았어요. / B: 아니요, 합의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n agreement'은 합의나 약속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.
48. I had a good run.
A: You’re quitting?
B: Yeah, but I had a good run.
👉 (A: 그만두세요? / B: 네, 그래도 그동안 잘 해왔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good run'은 좋은 흐름이나 기간을 의미하며 마무리를 암시할 때 쓰입니다.
49. He had a point.
A: Do you agree with him?
B: Actually, he had a point.
👉 (A: 그의 말에 동의해요? / B: 사실, 일리는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point'는 누군가의 주장이나 말에 타당성이 있음을 인정할 때 씁니다.
50. She had a moment.
A: Why is everyone clapping?
B: She had a moment up there.
👉 (A: 왜 다들 박수 치는 거예요? / B: 그녀가 무대에서 빛나는 순간이 있었어요.)
📘 문법 포인트: 'have a moment'는 주목받거나 인상적인 순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이상으로,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HAVE 표현 50가지를 모두 마무리하였습니다. 각 표현은 회화에 자주 등장하며, 듣기와 말하기 실력을 동시에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자주 복습하시고, 실제 상황에 적용해 보세요!
'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쓰는 GET 표현 50가지 (0) | 2025.03.28 |
---|